도서관, 책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나오키상 수상작 모아보기 '나오키상' 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요즈음 서점가에서 '나오키상 수상작' 이라는 타이틀을 달고있는 책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데요, 나오키상은 일본의 소설가 '나오키 산쥬고'의 업적을 기리고자 만들어진 문학상으로 대중문예의 신진작가에게 주어지는 상이라고 합니다. 현재 157회 수상작까지 발표되었으며, 수상 작가들은 활발한 작품활동으로 일본 대중문학을 이끌어나가고 있습니다. 역대 수상작은 무엇이 있는지, 정석학술정보관에서 대표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긴 겨울, 어떤 책을 읽어야할지 고민이라면 나오키상 수상작과 함께 일본 문학의 매력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요? ::: 도서 제목이나 소장정보를 클릭하면 정석학술정보관 소장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1) 용의자 x의 헌신 :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히가시.. 더보기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추천도서 소개 (12월) 정석에서는 매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추천도서를 소개하였는데요, 2017년을 마무리하며 12월을 함께 할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추천도서를 소개하겠습니다. 이제 겨울방학을 맞이하였을 인하인 여러분들에게는 책 읽기 가장 좋은 시기가 아닐가 싶은데요, 긴 겨울, 독서와 함께 따뜻하고 행복한 시간을 만들어 가기를 바랍니다. ::: 도서 제목이나 소장정보를 클릭하면 정석학술정보관 소장정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1) 딸에 대하여 : 김혜진 지음 딸과 어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소수에 대한 차별과 사회적 약자의 현실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화자인 어머니는 딸을 직접 돌보기 위해 교사 직업을 그만두었지만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도배장이, 보험 세일즈 등을 거쳐 예순이 넘은 현재는 노인 요양병원에서 요양보호사로 일하고 있다... 더보기 새로운 문학의 맛. 중국 소설가 작품 모음 요즘 즐겨 읽는 소설이 있나요? 지금 읽고 있는 소설이 있다면 그 소설의 저자는 어느 나라 사람인가요? 많은 분들이 국내 작가의 소설이나 일본 소설, 혹은 영미소설을 주로 접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서점에서 가장 인기를 얻고 있는 도서들을 보면 국내, 혹은 영미권 작가의 작품인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오늘 정석에서는 대중적인 국가의 문학작품 외에 조금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중국 문학'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중국 문학의 경우 영미권이나 일본권의 문학작품에 비하면 대중적 인지도가 높지는 않지만 시대상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자국 문학만의 특성을 꾸준히 구축해 나가면서 이를 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중국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가 방영되어 인기를.. 더보기 소설가 50인 추천 2017년의 소설 2017년 한 해도 다양한 문학 작품들이 우리와 함께 하였습니다. 정석학술정보관 블로그에서도 다양한 도서를 소개하며 한 해를 보냈는데요, 올 한 해 여러분의 마음을 '콕' 찌른 작품에는 무엇이 있나요? 오래 기억에 남을만한 작품을 만나고, 이로 인해 새로운 감정을 느끼고 몰랐던 부분을 생각하게 된다면 이 또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작은 행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보문고 소설전문 팟캐스트 '낭만서점' 에서 50인의 소설가를 통해 선정한 '올해의 소설' 리스트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2017년 출간된 소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요, 과연 '소설가들이 추천한 올해의 소설' 의 영광을 안은 작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하다면 함께 해 주세요!! ::: 도서 제목이나 소장정보를 클릭하면 정석.. 더보기 따뜻한 겨울나기 DIY 연일 계속되는 한파로 겨울의 한 가운데에 서 있는듯한 나날들입니다. 이불 밖은 위험한 나날들, 추운 겨울을 지내는 여러분의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따뜻한 집에서 밀린 드라마나 예능프로 보기, 읽고 싶었던 책 읽기, 혹은 정면돌파(?)로 스키장이나 겨울바다를 찾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아직 긴 겨울, 더욱 따뜻하고 즐겁게 보내기 위해 또 한 가지 추천하고 싶은 겨울나기 방법은 내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직접 무엇인가를 만들며 오로지 그 과정에 몰두하는 시간은 여러가지 생각으로 복잡한 머리속을 정리하고, 마음을 차분하게 해주는데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완성하였을 때 느낄 수 있는 성취감은 덤이구요 ^^ 더불어 겨울은 손수 만든 소품으로 집안을 꾸미거나, 목도리같은 물건들을 만들기에도 .. 더보기 도서관 여행, 함께 할까요? 여러분에게 '도서관'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이 있나요? 도서관에서 일하는 사서로서 가장 많은 고민을 하고, 어렵게 여겨지는 부분이 '도서관의 이미지' 에 대한 것인데요, 어렵고 딱딱하기보다는 조금 더 편하고 친숙한 도서관으로의 성장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정석을 이용하며 여러분은 과연 도서관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와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대부분의 경우 도서관 내 열람실만을 이용하거나, 도서관에 대해 조금은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을 가지고 계실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친숙하게 도서관의 다양한 서비스와 정보, 그리고 도서관에서 느낄 수 있는 감성과 매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것 또한 도서관이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기도 하지요. 문명이 탄생하고 지식이 생겨난 이래.. 더보기 지금, 여기, 안전한가요? 많은 분들이 한반도는 '지진에서 안전하다' 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지진대에 걸쳐있는 일본 등의 국가에 비해서 지진 발생 위험에서 안전하다는 것은 기정 사실처럼 인식되고 있었지요. 그러나 최근 크고 작은 지진들이 연달아 일어나며 한반도의 안전 또한 장담할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2016년 일어난 경주 지진에 이어 지난 11월 15일 포항에서는 규모 5.4의 강한 지진이 발생하였는데요, 그 여파로 부산, 서울, 인천 등 전국 각지에서도 진동이 느껴지는 등 대한민국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에 당초 11월 17일로 예정되어 있던 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되어 실시되면서 입시 일정 또한 변동을 겪어야 했지요. 뉴스로 보도되었던 포항의 모습은 담이 무너지고, 도로가 갈라지는 등 처참한 모습이었는데요, 피.. 더보기 노래가 주는 힘, 음악이 주는 힘 여러분은 음악 듣는 것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주로 울적할 때 음악을 찾는 것 같습니다. 공감할 수 있는 가사, 조용한 멜로디를 듣고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힘들었던 감정 또한 정리가 되는 느낌이기 때문이지요. 때로는 신나는 멜로디의 음악을 들으며 기분을 업! 시키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어떨 때 음악을 찾게 되는지 궁금한데요, 노래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과 힘은 우리의 생각보다 더 큰 것인지도 모릅니다. 만일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배경음악이 없다면 어떨까요? 아마도 그 영화, 혹은 드라마를 몰입해서 보기가 무척 어려워지겠지요. 장면에 대한 몰입과 감상의 여운을 남겨주는 데에는 음악의 힘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좋은 영화 ost나, 뮤지컬 넘버는 시대와 세대를 초월해서 오랜 기간 많은 사.. 더보기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추천 도서 '날씨는 세상의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식물과 교육의 상관관계는?' '문어는 어떠한 생명체일까?' 이러한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마 대부분은 우리가 그다지 깊게 생각하지 않았거나 생각을 해 본적이 없었던 부분일 것입니다. 책은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현상과 사물에 대한 의문, 그리고 이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세상의 많은 것들에 대한 시야와 사고의 반경을 넓혀갈 수 있는 것이겠지요. 'Smart is the new sexy' 라는 말이 있습니다. 번뜩이는 지성과 센스있는 사고방식은 나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요소라는 의미이지요. 실제로 대화를 할 때 다양한 분야에 대해 즐겁게 이야기가 통한다면 그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올라가는 .. 더보기 이 가을, 스크린셀러와 함께 '스크린셀러(Screenseller)'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는 스크린(Screen)과 과 베스트셀러(Best Seller) 를 합친 말로 영화의 원작 소설이 베스트셀러가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신조어라고 합니다. 즉 영화 개봉으로 원작 소설 또한 인기를 얻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요, 기술의 개발로 미디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있는 요즘 스크린셀러의 강세는 예견된 현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영화를 통해 소설이 재조명 받고, 이를 통해 독서의 즐거움을 다시 느끼는 사람이 생긴다면 이 또한 좋은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특히 영화라는 대중적이고 친근한 매체를 통해 책을 읽는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서 '스크린셀러 전성시대'는 긍정적 현상으로 평가..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9 다음